궁금한 경제 소식, 철학

Curious economic news and philosophy.

경제/주식, 증시

[주식, 증시] 드디어 흑자 SK하이닉스, 5분기 만에 흑자전환 성공, 메모리 회복

리토노미 2024. 1. 25. 19:47
728x90
반응형

[주식, 증시] 드디어 흑자 SK하이닉스, 5분기 만에 흑자전환 성공, 메모리 회복

 

SK하이닉스 흑자 전환 성공

1. SK하이닉스 흑자 전환

SK하이닉스는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3460억 원을 거두며 전년동기(-1조 9122억 원)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2022년 4분기부터 이어져온 영업적자에서 1년 만에 벗어났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년동기(7조 6720억 원) 대비 47.4% 급등한 11조 3055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시장의 전망치를 상회하는 깜짝 실적이다. 앞서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SK하이닉스의 4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매출 10조 4447억 원, 영업손실 896억 원이었다.

 

2. 이유

메모리 반도체 시황이 회복되면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는 게 SK하이닉스의 설명이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 인공지능(AI) 서버와 모바일향 제품 수요가 늘고 평균판매단가(ASP)가 상승하는 등 메모리 시장 환경이 개선됐다"며 "이와 함께 그동안 지속해 온 수익성 중심 경영활동이 효과를 내면서 1년 만에 분기 영업흑자를 기록하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SK하이닉스는 지난해 D램에서 시장을 선도하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 수요에 적극 대응한 결과 주력제품인 DDR5와 HBM3 매출이 전년 대비 각각 4배, 5배 이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다만 상대적으로 업황 반등이 늦어지고 있는 낸드에서는 투자와 비용을 효율화하는 데 집중했다고 언급했다.
반응형

3. 향후 SK하이닉스 방향

SK하이닉스는 고성능 D램 수요 증가 흐름에 맞춰 AI용 메모리인 HBM3E 양산과 HBM4 개발을 순조롭게 진행하는 한편 서버와 모바일 시장에 DDR5, LPDDR5T 등 고성능, 고용량 제품을 적기에 공급하기로 했다.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AI향 서버 수요와 온디바이스 AI 응용 확산을 대비해 고용량 서버용 모듈 MCRDIMM고성능 모바일 모듈 LPCAMM2 준비에도 만전을 기해 기술 리더십을 지켜간다는 계획이다. 올해 SK하이닉스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생산을 늘리며 수익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기조를 유지하는 한편 투자비용(CAPEX) 증가는 최소화해 안정적인 사업 운영에 방점을 둔다는 방침이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장기간 이어져온 다운턴에서도 회사는 AI 메모리 등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하며 지난해 4분기 흑자 전환과 함께 실적 반등을 본격화하게 됐다"며 "새로운 도약의 시기를 맞아 변화를 선도하고 고객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하면서 '토털 AI 메모리 프로바이더'로 성장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 MCRDIMM : 여러 개의 D램이 기판에 결합된 모듈 제품으로, 모듈의 기본 정보처리 동작 단위인 랭크 2개가 동시 작동돼 속도가 향상된 제품이다.

※ LPCAMM2 :  LPDDR5X 기반의 모듈 솔루션 제품으로 기존 DDR5 SODIMM 2개를 LPCAMM2 1개로 대체하는 성능 효과를 가지면서 공간 절약뿐만 아니라 저전력과 고성능 특성을 구현했다. 

 

4. 결론

SK하이닉스가 메모리 반도체 업황 반등에 힘입어 1년 만에 적자 고리를 끊고 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특히 시장의 기대를 웃도는 깜짝 실적을 기록하며 향후 실적 반등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향후 SK하이닉스 행보를 주의 깊게 보는 것도 좋아 보인다.

728x90
반응형